전체 글27 고성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1) 1.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는 벤젠고리에 유황이 붙은 모양이 반복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는 용융점이 285℃이고, 유리전이 온도는 90℃, 인장강도는 7~14 kgf/㎟, 굴곡 탄성률 1.2~1.7 × 10^3 kgf/㎟, 열변형 온도는 260℃ 이상으로서 내열성이 우수한 고결정성의 열가소성 고분자입니다. 제조방법은 파라디 클로로벤젠과 황화 소다를 극성 유기촉매 속에서 반응시키는 것으로 벤젠고리 사이에 산소 대신 유황이 들어감으로써 성형성이 우수합니다. 그리고 불연성이면서 사용 온도 범위가 200℃ 이상인 우수한 내열성 고분자 재료이며, 370℃에서도 몇 시간은 견딜 수 있고 425℃에서 열분해가 시작됩니다. 또한 각종 화.. 2022. 4. 26.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2) 3.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에스테르의 일종이지만 반복 구조 단위가 탄산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있는 특징 때문에 선상의 열가소성 재료입니다. 카보네이트 결합 사이를 이루는 구조는 지방족과 방향족의 탄화수소가 두루 사용되지만, 방향족의 탄화수소인 비스페놀 A를 한쪽의 출발 물질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주로 생산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고분자의 구조 단위 간에는 강항 상호인력이 작용합니다. 따라서 높은 중합도의 재료는 성형이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는 다소 낮은 중합도의 물질을 생산하고 있고, 이러한 낮은 중합도를 활용해서도 충분히 역학적 특성을 가진 제품을 얻을 수 있습니다. 폴리카보네이트 분자 간의 강한 상호작용에도 불구하고 이 재료는 거의 결정을 이루는.. 2022. 4. 24.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1) 1.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아미드는 흔히 총칭이며 나일론(Nylon)이라고 불려지고 있습니다. 나일론이라는 이름은 최초로 개발한 미국의 Du Pont Co.의 상표명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기본 구조는 수많은 반복 단위들이 아미드 결합(-CO-NH-)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폴리아미드의 종류와 각기 그 명칭이 달라지지만 지방족 화합물로 되어 있는 것들은 반복 단위의 탄소원자의 수에 따라 나일론 6, 66, 4, 11 및 12 등으로 불립니다. 나일론은 결정성 고분자로 성형 조건에 따라 다르나 20~30% 정도 결정화하고 있으며, 결정 부분은 특히 마찰저항이나 경도가 큽니다. 또한 나일론수지는 높은 충격 강도를 가지며 마찰계수가 작고 내마모성이 큽니다. 용융점은 종류에 따라 다르.. 2022. 4. 22. 범용 플라스틱 재료의 종류 및 특성 (2) 1.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LDPE, LLDPE, HDPE 폴리에틸렌은 5대 범용수지들(LDPE, HDPE, PP, PS, PVC) 중 대표적인 것으로 고분자 중에서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폴리에틸렌의 제조에는 에틸렌 가스의 중합에 의해 중합 조건의 차이에 따라 성질이 다른 성질의 재료가 얻어지며, 대표적으로는 결정화도가 높고(~95%) 단단한 성질을 가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분지(graft)가 있고 그 길이가 짧고 길어짐에 따라 결정성이 낮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등이 있습니다. LLDPE의 결정화도는 50~55%이고 LDPE의 결정화도는 45~55%입니다. 또한, 생성된 폴리에틸렌의 분자량에 따라서 그 성질이 .. 2022. 4. 20. 이전 1 2 3 4 5 6 7 다음